📒연극 - 금녀와 정희
작 : 최진아
✓ 드라마 | 약 100분 | 7인
✓ 등장인물 | 금녀 / 정희 / 석진 / 신평댁 / 개장수 / 리을 / 미음
📢️ 구매공지
✓ 본 대본은 작가와의 계약을 통한 위탁 판매 서비스입니다
- 대본을 구매하시면 PDF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30일 동안 3회 다운로드 가능)
- PDF파일 다운로드 후, 구매 취소는 불가합니다
- 대본을 공연하고자 할 경우,
사용권 중개 카테고리에서 공연 사용권 구매 부탁합니다
- 공연 대본의 인터넷 게시 혹은
재판매는 금지이며 발견 시, 법적 조치를 취합니다
- 이외 사용권에 관한 문의는 1;1 문의 부탁합니다
📢 본 대본의 구매는 상연(上演-연극 따위를 무대에서 하여 관객에게 보이다)을 전제로 희곡 창작자에게 사용권을 구매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대본 미리보기를 통해 작품의 내용을 파악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본 구매 시, 내려받기 후 구매취소를 하시면 부득이하게 구매금액의 50% 차감 후 환불이 됨을 알려드립니다.
📜 시놉시스 |
혼자 살아가는 노모 ‘금녀’와 오랜만에 휴가를 얻어 시골집을 찾은 딸 ‘정희’.
두 사람은 말없이 서로를 바라보며, 애써 닿지 않는 마음의 거리를 좁히려 한다.
정희는 어머니와 여행을 가고 싶지만, 금녀는 고집을 부린다.
대신 개에게 밥을 주고, 구멍가게를 보고, 동네 사람들과 시시콜콜한 대화를 나눈다.
정희는 그런 엄마가 야속하고 서운하지만, 금녀는 그런 방식으로만 자신의 삶을 살아왔다.
치과에서 이를 뽑고 돌아오는 길, 둘은 조용히 서로를 닮은 상처들을 마주하고,
정희는 점점 과거의 기억들 속에서 엄마의 얼굴을 떠올린다.
한때 울면서 감나무를 잡고 서 있었던 자신의 모습, 엄마가 우산을 들고 와 자신을 업고 건넜던 개울가…
그 속엔 말하지 못한 사랑과 애틋함이 흐르고 있었다.
삶의 무게를 몸에 그대로 실은 엄마는, 점점 자신의 늙음을 드러낸다.
그것은 정희에게 창피함과 슬픔, 그리고 이해되지 않는 감정들을 불러온다.
하지만 결국, 둘은 서로에게로 돌아온다. 깊은 상처 속에서도, 말로 다 하지 못한 고백 속에서도.
그리고 떠나는 날, 정희는 다시 한 번 엄마의 뒷모습을 바라본다.
“우리 엄마 참 예쁘다”는 말과 함께, 딸과 엄마는 서로를 향한 긴 사랑의 여운을 남긴다.
✏️️ 작품 의도ㅣ
이 작품은 딸과 어머니 사이의 이해와 오해, 사랑과 침묵, 그리고 세대 간의 간극을 은은하게 직조해 나가는 서정적인 드라마다.
특히나 여성으로 살아온 한 사람의 일생과, 그 일생을 곁에서 지켜보는 또 다른 여성의 시선을 병치하며,
‘말하지 않아도 전해지는 감정의 깊이’, ‘세월과 함께 닳아가는 몸과 마음’, ‘늙음과 외로움에 대한 존엄’을 담담하게 보여준다.
‘금녀’는 금같이 귀한 이름을 가졌지만, 그 삶은 결코 빛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속에 숨겨진 고요한 강인함과 사랑은, 결국 딸 ‘정희’를 통해 다시 피어나게 된다.
📜 시놉시스 |
혼자 살아가는 노모 ‘금녀’와 오랜만에 휴가를 얻어 시골집을 찾은 딸 ‘정희’. 두 사람은 말없이 서로를 바라보며, 애써 닿지 않는 마음의 거리를 좁히려 한다. 정희는 어머니와 여행을 가고 싶지만, 금녀는 고집을 부린다. 대신 개에게 밥을 주고, 구멍가게를 보고, 동네 사람들과 시시콜콜한 대화를 나눈다. 정희는 그런 엄마가 야속하고 서운하지만, 금녀는 그런 방식으로만 자신의 삶을 살아왔다. 치과에서 이를 뽑고 돌아오는 길, 둘은 조용히 서로를 닮은 상처들을 마주하고, 정희는 점점 과거의 기억들 속에서 엄마의 얼굴을 떠올린다. 한때 울면서 감나무를 잡고 서 있었던 자신의 모습, 엄마가 우산을 들고 와 자신을 업고 건넜던 개울가… 그 속엔 말하지 못한 사랑과 애틋함이 흐르고 있었다. 삶의 무게를 몸에 그대로 실은 엄마는, 점점 자신의 늙음을 드러낸다. 그것은 정희에게 창피함과 슬픔, 그리고 이해되지 않는 감정들을 불러온다. 하지만 결국, 둘은 서로에게로 돌아온다. 깊은 상처 속에서도, 말로 다 하지 못한 고백 속에서도.그리고 떠나는 날, 정희는 다시 한 번 엄마의 뒷모습을 바라본다. “우리 엄마 참 예쁘다”는 말과 함께, 딸과 엄마는 서로를 향한 긴 사랑의 여운을 남긴다.
✏️️ 작품 의도ㅣ
이 작품은 딸과 어머니 사이의 이해와 오해, 사랑과 침묵, 그리고 세대 간의 간극을 은은하게 직조해 나가는 서정적인 드라마다.
특히나 여성으로 살아온 한 사람의 일생과, 그 일생을 곁에서 지켜보는 또 다른 여성의 시선을 병치하며, ‘말하지 않아도 전해지는 감정의 깊이’, ‘세월과 함께 닳아가는 몸과 마음’, ‘늙음과 외로움에 대한 존엄’을 담담하게 보여준다.
‘금녀’는 금같이 귀한 이름을 가졌지만, 그 삶은 결코 빛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속에 숨겨진 고요한 강인함과 사랑은, 결국 딸 ‘정희’를 통해 다시 피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