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 2030(이공삼공)
작 : 김건욱
✓ 때 | 2030년
✓ 장소 | 대한대학교 학생회의실
✓ 등장인물 |
정치외교학과 정 부 /경찰행정학과 강력반 / 경영학과 왕대표 /
광고마케팅과 인스타 K-POP과 한 류 / 역사학과 황 후 / 심리학과 마 음 /
군사학과 국충성 / 유아교육과 금족희 / 학생과장
✓ 약 90분 | 7인 이상
📢️ 구매공지
✓ 본 대본은 작가와의 계약을 통한 위탁 판매 서비스입니다
- 대본을 구매하시면 PDF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30일 동안 3회 다운로드 가능)
- PDF파일 다운로드 후, 구매 취소는 불가합니다
- 대본을 공연하고자 할 경우,
사용권 중개 카테고리에서 공연 사용권 구매 부탁합니다
- 공연 대본의 인터넷 게시 혹은
재판매는 금지이며 발견 시, 법적 조치를 취합니다
- 이외 사용권에 관한 문의는 1;1 문의 부탁합니다
📢 본 대본의 구매는 상연(上演-연극 따위를 무대에서 하여 관객에게 보이다)을 전제로 희곡 창작자에게 사용권을 구매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대본 미리보기를 통해 작품의 내용을 파악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본 구매 시, 내려받기 후 구매취소를 하시면 부득이하게 구매금액의 50% 차감 후 환불이 됨을 알려드립니다.
📜 시놉시스 |
2030년. 대한대학교 학생회실에서 학생과장의 주관하에 각 학과별 대표들이 모여
학과 운영 1년 예산 6억 5,600만원을 나눠갖기 위해 설전을 벌인다.
2030년은 2030세대를, 대한대학교는 대한민국을, 6억 5,600만원은 대한민국 1년 예산(2024년 기준) 656조 6,000억원을.
극 중 요소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해 대한민국에 사라져가는 인류애, 그리고 점점 더 살기 힘들어지는
2030세대 청년들의 안타까운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해학적으로 풀어나간다.
대한대학교 1년 학과 운영 예산 6억 5,600만원을 배분하기 위해
학생회실에 모인 각 학과별 대표 정치외교학과 정 부(권력), 경찰행정학과 강력반(정의), 경영학과 왕대표(다스림),
광고마케팅과 인스타(여론), K-POP과 한 류(한류), 심리학과 마음(인류애), 군사학과 국충성(병역), 역사학과 황 후(역사),
유아교육과 금족희(출산), 그리고 회의 주관자 학생과장(지배). 각자 입장에 따라 예산 요청에 대한 브리핑을 한다.
거친 설전 끝에 학과별 최종 예산을 발표하는 학생과장.
✏️️ 작품 의도ㅣ
2024년 기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조사한 대한민국의 국내총생산(GDP) 순위는 181개국 중 14위입니다.
또한 2024년 세계행복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지수는 143개국 중 52위라고 합니다.
세계에서 대한민국의 경제 수준은 상위권이나, 정작 그 안에 살고 있는 국민들의 만족도는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이유는 정말 다양합니다.
그 다양한 이유들 중 몇개의 카테고리를 선정해 대한민국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와 그 속의 개설학과로 풀어나갔습니다.
앞으로 우리 청년들이 이 땅 가운데에서 어떻게 미리를 준비하며 살아가야 할지 생각을 해보고자 합니다.
📜 시놉시스 |
2030년. 대한대학교 학생회실에서 학생과장의 주관하에 각 학과별 대표들이 모여 학과 운영 1년 예산 6억 5,600만원을 나눠갖기 위해 설전을 벌인다.
2030년은 2030세대를, 대한대학교는 대한민국을, 6억 5,600만원은 대한민국 1년 예산(2024년 기준) 656조 6,000억원을. 극 중 요소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해 대한민국에 사라져가는 인류애, 그리고 점점 더 살기 힘들어지는 2030세대 청년들의 안타까운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해학적으로 풀어나간다.
대한대학교 1년 학과 운영 예산 6억 5,600만원을 배분하기 위해 학생회실에 모인 각 학과별 대표 정치외교학과 정 부(권력), 경찰행정학과 강력반(정의), 경영학과 왕대표(다스림), 광고마케팅과 인스타(여론), K-POP과 한 류(한류), 심리학과 마음(인류애), 군사학과 국충성(병역), 역사학과 황 후(역사), 유아교육과 금족희(출산), 그리고 회의 주관자 학생과장(지배). 각자 입장에 따라 예산 요청에 대한 브리핑을 한다. 거친 설전 끝에 학과별 최종 예산을 발표하는 학생과장.
✏️️ 작품 의도ㅣ
2024년 기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조사한 대한민국의 국내총생산(GDP) 순위는 181개국 중 14위입니다. 또한 2024년 세계행복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지수는 143개국 중 52위라고 합니다. 세계에서 대한민국의 경제 수준은 상위권이나, 정작 그 안에 살고 있는 국민들의 만족도는 현저히 낮은 수준입니다. 이유는 정말 다양합니다. 그 다양한 이유들 중 몇개의 카테고리를 선정해 대한민국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와 그 속의 개설학과로 풀어나갔습니다. 앞으로 우리 청년들이 이 땅 가운데에서 어떻게 미리를 준비하며 살아가야 할지 생각을 해보고자 합니다.